전체 글53 치근단 절제술 ★치근단 절제술은 일반적인 신경치료로 해결되지 않는 치근단 부위의 감염 또는 염증을 외과적으로 제거하는 술식입니다. 말 그대로 치아 뿌리 끝을 잘라내고 병변을 제거하는 외과적 시술입니다. 🔎 언제 시행하나 1. 재근관치료 실패: 신경치료를 두 번 이상 했지만 여전히 염증 또는 통증이 남아 있을 때 2. 치근단 병소 존재: 치근 끝에 낭종, 육아종, 고름집(농양) 등이 있을 때 3. 기형적 해부 구조: 근관이 너무 좁거나 막혀 있어 치료 도구로 접근이 어려울 때 4. 치근 골절 가능성: 일부 골절이 의심되나 치아를 살릴 수 있는 경우 🛠️ 시술 과정 1. 마취: 국소마취 후 시술 부위 감각 차단 2. 잇몸 절개 및 치조골 노출: 잇몸을 절개하고 치아 뿌리 끝 부위를 노출.. 2025. 6. 19. 치아 공간 유지장치 ★치아 공간 유지 장치는 어린이의 영구치가 나올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하는 교정 장치입니다. 주로 유치가 조기에 빠졌을 때, 인접한 치아가 그 공간으로 이동하여 영구치가 나올 자리를 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. ✅ 공간 유지 장치란? 1. 정의: 조기 탈락한 유치의 공간을 확보해, 영구치가 올바른 위치로 나올 수 있도록 돕는 장치 2. 사용 시기: 주로 6세~12세 사이의 혼합 치열기(유치와 영구치가 함께 있는 시기) 🧵 공간 유지 장치의 종류 1. 고정형 공간 유지 장치 ①치과에서 제작 및 부착 ②제거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착용 ③예: 밴드 루프 장치, 크라운과 루프, 링 앤 루프 등 2. 가철성 공간 유지 장치 ①환자가 탈착 가능 .. 2025. 6. 18. 턱관절 장애 ★턱관절은 아래턱(하악)과 두개골(측두골)을 연결하는 관절로, 우리가 입을 벌리고, 씹고, 말할 수 있게 해주는 아주 중요한 구조입니다. 🦴 턱관절 구조 1. 하악골: 아래턱뼈 2. 측두골: 귀 앞에 위치한 두개골 일부 3. 관절원판(디스크): 뼈 사이에 있는 말랑한 구조물로, 충격을 완화하고 움직임을 부드럽게 해줍니다. 4. 관절낭/인대/근육: 턱을 움직이고 고정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. 🧾 턱관절 장애 1. 증상 ①입을 벌릴 때 딱딱 소리가 납니다. (관절 디스크 문제) ②턱이 아프거나 움직일때 무겁습니다.(특히 귀 앞쪽) ③입이 안 벌어지거나 한쪽으로만 벌어집니다. ④씹을 때 불편하거나 통증을 느낍니다. ⑤두통, 이명(귀울림), 목 통증 동반되.. 2025. 6. 17. 이전 1 2 3 4 5 6 7 8 ··· 18 다음